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천공항 노동자 파업, 왜 4조2교대제와 불공정 계약 개선이 필요한가

by 리치커트니57 2025. 9. 13.

인천공항 노동자 파업, 왜 4조2교대제와 불공정 계약 개선이 필요한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인천공항 노동자 파업과 그 배경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려고 합니다. 언론에 단편적으로 보도되는 소식만으로는 왜 노동자들이 이렇게 강경한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었는지 이해하기 어려운 분들도 많을 텐데요. 실제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목소리와 그들이 요구하는 4조2교대제 전환, 불공정 계약 개선 문제를 풀어보면, 단순히 임금 문제가 아니라 안전과 생존이 걸린 문제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인천공항 노동자들이 처한 현실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 정안석 지부장은 “지난해에만 인천공항에서 5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라며 열악한 근무 현실을 호소했습니다. 현재 인천공항 자회사 노동자 약 1만 명 중 무려 6천 명 이상이 3조2교대 근무 체계에서 일하고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이 교대제가 매우 과중한 노동 환경을 만든다는 점입니다. 이미 인천국제공항공사 정규직 직원들은 2007년에 4조3교대로 전환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근무 환경을 확보했습니다. 하지만 자회사 노동자들은 여전히 20년 가까이 개선되지 않은 과중 노동 구조에 묶여 있는 것입니다.


왜 4조2교대제가 중요한가

노동자들이 요구하는 4조2교대제 개편은 단순히 교대조의 숫자를 늘리는 문제가 아닙니다. 이는 곧 노동자들의 안전과 생명, 그리고 공항 운영의 안정성과 직결된 사안입니다.

공공운수노조 김선종 부위원장은 “전국 공항의 간접고용 노동자들이 모회사의 책임 회피와 자회사의 비용 절감 압박 속에 저임금과 불안정 고용에 내몰리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인천공항이 약속한 4조2교대제 개편과 결함 발생 시 즉각적인 인력 충원이 반드시 이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노동자의 권리 보장을 넘어, 항공 안전에도 중요한 과제라는 점에서 시급성이 큽니다.


불공정 계약 구조의 문제

또 다른 중요한 문제는 낙찰률 92%라는 불공정한 계약 구조입니다. 전국공항노동조합 엄흥택 위원장은 “한국공항공사 두 개 자회사와 각각 8차례, 5차례의 임금교섭을 진행했지만, 여전히 구조적 불공정이 유지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낙찰률이란, 모회사가 발주하는 계약에서 자회사가 최저가 입찰 방식으로 수주해야 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현재 92%라는 낮은 낙찰률 때문에 자회사들은 구조적으로 인건비를 줄일 수밖에 없고, 이는 곧 노동자의 저임금과 인력 부족으로 이어집니다. 게다가 공항공사 출신 낙하산 인사들이 이런 불합리한 계약을 수용하면서, 정작 노동자들은 더 힘든 환경에 내몰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임금과 이윤 배분 문제

정부 권고 기준에 따르면 자회사의 이윤 배분율은 15% 수준이 되어야 하지만, 현실은 10%대에 머물고 있습니다. 결국 자회사의 재정적 여유가 부족해지면서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은커녕 근무 환경 개선조차 어렵게 되고 있습니다.

엄흥택 위원장은 “2018년부터 무려 8년간 대화를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결국 파업이라는 마지막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파업은 노동자들의 압도적 찬성, **투표율 89.7%**라는 높은 지지를 통해 결정됐습니다. 이는 단순한 반발이 아니라, 오랜 시간 쌓인 불만과 생존권 투쟁이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인천공항 노동자들의 투쟁이 가지는 의미

이번 파업은 단순히 인천공항 노동자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전국 공항에서 일하는 간접고용 노동자들이 겪는 구조적 불평등과 불공정 계약의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안전이 최우선이어야 할 공항에서, 인력 부족과 과중한 교대 근무가 이어진다면 그 피해는 결국 국민들에게 돌아옵니다. 따라서 노동자들의 요구는 단순히 개인의 권익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라는 점에서 귀 기울여야 할 목소리입니다.


 



#인천공항노동자 #4조2교대제 #불공정계약 #공항노동자파업 #인천공항파업 #간접고용문제 #노동환경개선 #저임금문제 #노동권 #공항안전